본문 바로가기
코인 with 테빗/디파이(De-Fi)

디파이(DeFi) 비영구적 손실에 대한 깔끔 정리(with 클레이스왑)

by 테빗 2021. 10. 17.

안녕하세요 테빗입니다~ㅎㅎ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아마도 디파이 pool에 굉장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도 디파이라는걸 처음 알았을 때 이게 맞는건지, 주의해야할 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우선 디파이는 탈중앙화 금융서비스로 거래소에는 거래 중개업자가 없습니다. 개인들간의 거래만 있을 뿐이지요.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탈중앙화 거래소에 COIN이라는 가상화폐를 예치했다고 칩시다.(유동성 공급) 그러면 탈중앙화 거래소에는 COIN이라는 가상화폐가 남아있겠죠? 이 가상화폐를 가지고 다른 사람들이 SWAP을 한다던가, 혹은 대출을 받아서 투자를 할 수도 있습니다.

 

현실 금융거래에 있어서 은행과 같은 존재가 없기 때문에 은행이 가져가는 수수료를 A라는 사람이 가져가게 됨으로써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클레이스왑에 있는 '풀 예치'를 들어가보면, 두개의 토큰(코인)이 페어(pair)가 되어 있으며, 해당 풀에 유동성을 공급해줘야 합니다.(=예치한다는 말)

 

토큰 페어를 예치하여 pool에 유동성을 공급하게 되면, 공급자는 풀에 있는 지분율에 따라 KSP와 수수료를 지급받게 됩니다. 이건 클레이스왑 한정으로 말씀 드린 것이고, 디파이 프로젝트에 따라서 보상은 달라집니다!ㅎㅎ 참고하시길.

 

근데... 유동성 POOL에 토큰을 투입할 때 유의할 점이 바로 오늘 말씀드린 비영구적 손실입니다. 

 

풀에 토큰을 투입하게 되면 풀마다 교환비용이 있습니다. 두개의 토큰을 비슷한 금액으로 맞추기 위해서인데요. 위에 보시면 클레이튼과 이더리움 풀에는 '1KLAY = 0.000415ETH'의 교환비율이 나옵니다.

 

그런데... 비영구적 손실은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일어납니다.

 

위 : 이더리움 차트, 아래 : 클레이튼 차트

이더리움과 클레이튼의 가격차트를 가져와봤습니다. 두개의 코인이 같은 비율로 움직여야 토큰 간의 자동 매수매도가 실시되지 않는데 두 코인의 가격 차트는 비슷해 보이진 않습니다.

 

예를 들어, 클레이튼의 가격은 그대로인데 이더리움의 가격이 올랐다?! 그러면 이더리움의 가격이 오른만큼 POOL에서 클레이튼의 가격 비중이 줄어들잖아요? 그러면 이더리움을 매도하고 가격이 안오른 클레이튼을 매수하면서 POOL의 유동성 비율을 맞추는 겁니다.

 

그러면...?!! 나는 이더리움이 오른 가치만큼 수익을 못보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지요. 이를 보고 '비영구적 손실'이라고 부릅니다.

 

(클레이스왑에서는 유식한 말로 '예치 진행 과정 또는 예치 후 유동성 풀 내 토큰 간 교환 비율이 변동하는 경우, 원금 수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토큰을 일반적으로 보유했을 때 보다 예상 수익에 미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비영구적 손실은 가격 변화가 클수록 더 큰 비영구적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자산은 가격이 상승하는데, 페어된 반대편 자산의 가격이 하락한다면... 엄청난 리스크가 되는 것이죠.

 

반대로, 자산 가격의 변동성이 낮은 상품끼리 페어되어 있다면 보다 적은 비영구적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USDT, USDC, DAI 등과 같은 스테이블 코인으로 디파이를 한다면 자산 손실의 위험이 적다고 추천해드리죠.

 

위에 클레이스왑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스테이블 코인 간 페어되어 있는 Pool은 '테더+다이'입니다. 2021년 10월 16일에는 예상 수익률이 16.31%입니다.

 

은행에 예금을 넣어놓게 된다면 1%대 금리 밖에 못 받지만, 클레이스왑에 스테이블코인 페어 예치를 한다면 연 이자를 16%를 받게 됩니다. 이정도면 거의.... 90년대 은행 금리 수준 아닌가요ㄷㄷ

 

다만 위험요인으로는 해당 디파이 거래소가 망하면 내가 투자한 돈은 사라지게 됩니다. 먼지가 되어서... 아... 디지털이라서 먼지조차 안남겠네요...;;

 

그러니 근본이 있는 곳에 투자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클레이스왑까지는 그래도 근본이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어서 저는 디파이를 통한 이자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저는 KSP와 클레이튼이 친구라고 생각했고, 시세의 움직임도 거의 비슷하게 움직여 주기 때문에 해당 풀에 예치를 해놓은 상태입니다.

 

여러분들도 다양한 토큰들의 시세변동을 보시고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모르겠으면 스테이블 코인 고고!!

 

이상 테빗이었습니다~

 

 

클레이스왑이란?! 풀 예치, 스테이킹, 수수료 및 이자 받는 방법 깔끔 정리!

빗썸에서 클레이튼(KLAY) 코인 클레이스왑 사이트로 출금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미농입니다!!ㅎㅎㅎ 오늘은 빗썸에서 클레이(KLAY) 코인을 클레이스왑으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

goni7434.tistory.com

(클레이스왑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으시면 위 링크를 타고 한 번 들어가보세요~)

 

댓글